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ELTS
- Monica Hwang
- 예랑이
- 책
- 그림
- 호주
- Subclass 189
- Skilled Independent visa (subclass 189)
- Book Review
- Book
- 제주여행
- 호주 이민
- 자작동화
- SF
- ielts writing
- Secret Kingdom
- 황평화
- 독립기술이민
- Yerang Monica Hwang
- english writing
- 호주 영주권
- 평화
- Rosie Banks
- australia
- 황예랑
- Skilled Independent Migration
- 3분논문
- 멜버른
- General training module
- melbourne
- Today
- Total
목록리눅스 (5)
꾸로네
[리눅스] 1. convert + delay, 2. Xfig 한글, 3. gnuplot + front 1. convert 명령어를 써서 gif 동영상 만들 때, delay 선택사항 사용 $ convert -delay 10 *.png movie.gif -delay 뒤에 있는 숫자 10 이 gif의 각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말해준다. 정확히 초인지 뭔지는 잘 모르겠고, 저 숫자를 크게하면 프레임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길어진다. 2. Xfig 에서 한글 쓰기 Xfig 이라는 무른모를 쓰는 사람이 별로 없지만, 나는 논문의 대부분의 그림을 xfig을 이용해서 그린다. 여태껏 계산 서버에 있는 xfig을 썼지만, 급기야 내 셈틀에 xfig을 깔았다. 그런데 한글로 쓴 폴더 이름이 안 보여서 한글지원을 설정했다. 그..
사건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연구실 컴퓨터에 이상한 바이러스가 들어와서, 갑자기 부팅이 안 되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컴퓨터가 이상한 소리를 내기 시작합니다. 이러다가 자료가 다 날아가겠다는 생각에 무서운 나머지 기도를 하기 시작합니다. 하나님 제발 자료만은... 그러다 우분투를 깔기로 마음을 먹습니다. 언젠가 꼭 해 보겠다고 마음먹었던 것을 드디어 실행에 옮긴 것이지요. 다행히 자료는 잘 있더군요. 윈도우와 멀티부팅을 하라는 유혹도 많았지만 꿋꿋하게 윈도우는 날려버렸습니다. 그리고 우분투만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윈도우 xp를 까는 것보다 시간이 훨씬 적게 걸리더군요. 손에 익숙하지 않아서 이런저런 설정을 하는 데 조금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기본적인 프로그램을 까는데 거의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아니 그..
연구실 클러스터(병렬 컴퓨터)에 컴퓨터를 한 대 덧붙이려고 한다. 덧붙이는 컴퓨터는 보통 노드(마디, node)라고 부르며, 순서대로 node1, node2, ... 이렇게 부른다. 이 마디라는 녀석은 하드디스크 같은 저장장치도 따로 없고, 물론 DVD 드라이브도 없다. 그래픽 카드도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처음 설정을 할 때 화면이 보이지 않으면 불편하기에 달아 두었다. 간단한 작업이 아닐 것 같아서, 다음에 또 할 때 쉽게 할 수 있도록 그 과정을 기록해두려고 한다. 혹시 같은 일을 하려는 사람이 있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면 좋겠다. 1. 네트워크 부팅 하드도 없으니 당연히 부팅은 네트워크로 해야한다. 네트워크 부팅을 위해서는 부팅을 네트워크로 하겠다는 설정을 해야한다. 나의 경우는 바이오스(Bio..
논문에 한글로 이름을 넣기 위해서 한글 입력기를 설치했다. 리눅스에서 한글을 쓰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서버에 접속해서 X-Window를 띄워 쓰는 사람에게 아주 간단한 한글 입력기인 나비가 있다. 한텀을 굳이 띄우지 않아도, 일반적인 xterm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다. UTF-8도 지원하며, 세벌식에 옛글까지 지원한다. 1. 설치방법 기본적으로 설명서를 따라 설치하면 큰 문제는 없다. 나의 경우는 Fedora, 64bit 용을 OS로 사용하고 있다. 나비 0.99.5를 내려받아 설치했다. (내려받기) 늘 하듯이 root로 들어가서 /usr/local/src 에 압축을 풀고,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을 해서 설치를 하려고 했는데 ..